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당뇨병학회 E- Newsletter VOL 007


202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s 83rd Scientific Sessions 참관기

서울의대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구유정

202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s 83rd Scientific Sessions가 2023년 6월 23일부터 26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COVID19 시작 이후 만 3년만에 ADA에 직접 방문하다 보니 마치 전임의 시절 처음으로 해외 학회에 참여할 때처럼 설레고 기대되는 마음으로 참석하였다.

ADA


올해 미국 당뇨병학회에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발표를 꼽자면, 단연코 Julio Rosenstock 교수의 Triple-hormone-receptor agonist, Retatrutide 2상 임상시험 연구 결과 발표를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Retatrutide는 GLP-1/GIP/Glucagon triple agonist로 비만과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체중 감량에 효과적인 새로운 약물로서 강조되고 있다. 이번 2상 임상시험은 크게 두파트로, 첫째는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일부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는 환자가 포함된 연구이며, 둘째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 임상시험 결과는 “Retatrutide (LY3437943), a Novel GIP/GLP-1/Glucagon Receptor Triagonist—Obesity, NAFLD, and T2D Phase 2 Trial Results”라는 제목으로 Late-breaking Symposium에서 발표되었다. 주요 결과는 비만인 참가자 중 주1회 Retatrutide 최고용량인 12mg 피하 주사를 시작한 후 48주째 체중이 위약 대비 24% 이상 감량되었고, 더불어 8mg 및 12mg을 투여 받은 참가자들 100%가 적어도 체중의 5% 이상을 감량되었다. 기저 체중에 비하여 25% 이상 감소한 군이 거의 절반에 가까울 정도였다. 부작용은 구역, 구토, 설사, 맥박수 증가 등 기존에 잘 알려진 바와 비슷하였고, GLP-1/GIP dual agonist인 Tirzepatide에 비해 유의한 증가는 없었음을 밝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3상으로 전환하여 비만 환자들을 위한 잠재적인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서 효과 및 안전성을 평가하게 될 것이라 발표하였다.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Retatrutide 2상 임상시험은 38주 동안 진행되었고, 약 6개월 동안 4~12mg의 Retatrutide 투약 후 HbA1c를 1.3~2.0% 감소되었고, 위약이나 Dulaglutide보다도 혈당강하효과가 유의하게 높다고 발표하였고, 체중 감소 효과 역시 위약 대비 유의한 효과 (-16.8% vs 3.0%)를 보여주었는데, 발표자인 Julio Rosnstock교수는 추후 TRIUMPH 3상 임상연구를 통해 추가적인 만성적인 체중 관리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등에 대한 추가적인 효과 및 안전성을 평가할 예정이라고 하여 향후 비만과 당뇨병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이 보이는 매우 고무적이고 인상적인 발표였다.

ADA President인 Rodica Busui교수의 “My Journey in Diabetes Care, Research, and Complications” 발표 역시 마음에 와닿았는데, 당뇨병의 만성적인 합병증인 당뇨병성 신장 질환과 심혈관 질환에 대한 연구를 하는 당뇨병 전문 의사는 많지만 당뇨병 신경병증, 당뇨발과 관련된 연구와 치료, 제1형 당뇨병 치료를 위한 새로운 시도 등을 위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었다. 여성 의학자로서 ADA President로 현재도 미국당뇨병학회와 유럽당뇨병학회의 리딩 그룹을 선도하는 멋진 의학자인 Rodica Busui교수를 보면서 많은 영감을 받았다.

개인적으로는 Empagliflozin을 포함한 4제 경구혈당강하제 병합요법과 기저 인슐린 기반 병합요법의 혈당강하에 대한 장기추적 결과를 발표하였고, 이 연구는 ADA 발표 이후 다행히 Diabetes Therapy에 게재되어 의미가 있었다.

ADA


2023 ADA Scientific Sessions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최신 트렌드를 접하고,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서로 의견을 나누는 유익한 시간이었고, 특히 COVID19로 인해 대면으로 만나기 어려웠던 다양한 나라에서 참가한 외국 연구자들과 만나 교류할 수 있었던 즐거운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