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당뇨병학회 E- Newsletter VOL 004


당뇨병도 없었는데 인슐린을 맞아야 한다고요!?

서울아산병원 당뇨교육실 교육전담간호사 김민경

장기이식 후 당뇨병이란 당뇨병이 없던 사람이 장기 이식을 받은 후 당뇨병을 처음 진단 받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식 후 당뇨병은 본인의 건강뿐 아니라 이식 받은 장기의 생존률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때문에 이식 후 당뇨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관리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식 후 당뇨병이 왜 생기는지는 아직까지 분명치 않지만 이식 후 당뇨병 발생 위험을 높이는 몇 가지 위험요인은 알려져 있습니다. 이식 후에는 여러 가지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면역억제제 사용이 이식 후 당뇨병 발생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입니다. 이식 후에 사용하는 면역억제제 중에서 이식 후 당뇨병 발생과 연관성이 깊은 면역억제제는 스테로이드제제(메치론, 소론도, 캘코트 등), 싸이클로스포린제제(사이폴-엔, 산디문뉴오랄, 임플란타 등), 타크롤리무스제제(프로그랍, 타크로벨, 아드바그랍 등) 입니다. 면역억제제 외에도 이식 당시 나이가 많은 경우, 비만한 경우, 또는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이식 전에 혈당이 정상보다 높았던 경우, C형 간염과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증 등이 이식 후 당뇨병 발생의 위험요인에 해당됩니다.

당뇨병이 없다가 장기이식 후에 인슐린을 접하게 된 장기이식 후 당뇨병 환자의 교육사례를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 47세, 남자
- 이전 DM 진단 이력 없음
- HBV LC HCC 로 [2021-12-13] adult to adult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후 혈당 상승
- 휴물린엔 20단위 한번
- 당화혈색소 4.8%(2021.12.11)
- 키 166cm. 몸무게 54.1kg, BMI 19.1
- 가족력 없음
- 직업: 경정운동선수

▶ 2021.12.26 1차 교육

[ 사정 ] “이전에 당뇨병 진단은 받은 적 없어요 제가 당뇨병인가요?”(인정 못함)
“이제 평생 인슐린 맞고 당뇨병 환자로 사는 건가요?”
“내가 왜 인슐린을 맞아야 해요? 약으로 먹어도 되는 것 아닌가요? 인슐린을 절대 못 맞겠어요”
“바늘이 무서워요”
“인슐린 맞으면 몸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까요?”
“인슐린 맞으면 저혈당 와서 위험하지는 않나요?”
“식사는 평소 세끼 잘하고 일부러 건강 위해서 과일을 매일 챙겨먹고 과자 빵 이런 거 좋아해요”
“운동은 경정운동선수라 평소에 운동량이 많아요, 한 두시간 이상은 하는 거 같아요”
- 투약(면역억제제): Tacrobell 3mg(AM)-3mg(PM), Methylon 8mg-8mg
- 투약(인슐린): Humulin N 20u sc 1회
- 입원 시 혈당은 공복혈당 110~160mg/dl 유지중
[ 중재 ] - 장기이식후 당뇨병의 개념, 원인, 혈당 관리의 중요성, 정상으로 회복하기 위한 이식 후 당뇨병 관리법에 대해 설명
- 인슐린 치료에 대해 염려하는 것에 대해 충분히 공감. 면역억제제의 사용량이 감소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면 혈당이 잘 조절되고 인슐린도 중단할 수 있음을 충분히 설명
- 장기이식 후 관리 중요성에 대해 충분히 교육
- 자가혈당 측정 사용법 및 주의사항, 목표혈당 범위, 당뇨병 관리 수첩 기록 방법 설명
- 식사관리법 설명
- 운동의 이점. 빈도, 강조, 운동시 주의점 설명
- 인슐린의 주사법, 용량, 보관, 유효기간, 주사 부위, 용량조절법 설명
- 저혈당의 정의, 원인, 증상, 예방, 대처법 설명

▶ 2021.01.23 2차 교육

[ 사정 ] “식사는 세끼 잘하고 간식은 과일은 끊었고 출출하면 우유 한 개 정도 먹고 다른 간식은 다 끊었어요”
“운동은 아침 저녁에 30~40분씩 매일 걸어요”
“인슐린 투약은 문제없고 현재 휴물린엔 10단위로 맞고 있습니다.”
“언제 인슐린 끊을 수 있어요?”
“저혈당 생긴적 있어요”
- 공복혈당 100mg/dl 전후로 유지중
- 투약(면역억제제): Tacrobell 3mg(AM)-3mg(PM), Methylon 2mg-2mg
- 투약(인슐린): END외래 진료 후 Humulin N 10u sc 1회 유지
[ 중재 ] - 현재 이식 후 관리 잘 유지하고 있음을 칭찬, 지지 격려함.
- 목표혈당 잘 유지할 수 있도록 인슐린 용량 조절법 잘 적용할 수 있도록 설명
- 자가혈당 측정기 정확도 평가법 설명
- 저혈당의 정의, 원인, 증상, 예방, 대처법 설명

▶ 외래

2021.02.29 END [2021-02-27] (▲) Glucose (Qn)[ChemR-I],Blood 127 mg/dL
[2021-02-27] HbA1c (Qn)[Column chromatography],Blood 4.6 %
- 3MO F/U WITH OGTT4
- 투약(면역억제제): Tacrobell 3mg(AM)-3mg(PM), Methylon stop
- 투약(인슐린): 인슐린 중단
2022.06.03 END 외래 [2022-06-03] (▲) Glucose (Qn)[ChemR-I],Blood 117 mg/dL
[2022-06-03] Glucose,PP 120min (Qn)[ChemR-I],Blood 100 mg/dL
[2022-06-03] HbA1c (Qn)[Column chromatography],Blood 4.3 %
[2022-06-03] Glycated albumin & Albumin (Qn),Blood 13.6 %
- 외과로 다니세요.
- 투약(면역억제제): Tacrobell 3mg(AM)-2.5mg(PM), Methylon stop
- 투약(인슐린): 인슐린 중단 유지


▶ 결론


장기이식 후에 당뇨병이 발생하면 당뇨병으로 인한 급성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며 이식받은 장기의 거부반응이나 감염증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중요합니다. 위 사례는 장기이식 후 당뇨병 환자가 혈당관리 중요성을 인지, 관리함으로써 특히 인슐린 필요성에 대한 충분히 인지하고 정상으로 복귀하는 단순한 사례입니다. 많은 경우에서는 환자의 다이나믹한 복잡한 상황으로 인해 인슐린이나 경구혈당강하제 유지하는 환자, 인슐린을 마음대로 중단하여 혈당이 올라간 사례, 원래 당뇨병이 있어 이식 후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들도 많습니다. 장기이식 후 당뇨병 관리의 대한 충분한 교육을 통해 스스로 잘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인슐린을 처음 시작하는 환자들에 있어서는 인슐린의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충분히 공감하고 인슐린의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인슐린 주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교육자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104호

Copyright © Korean Diabetes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