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당뇨병학회 E- Newsletter VOL 004


Sex Differences of Visceral Fat Area and Visceral-to-Subcutaneous Fat Ratio for the Risk of Incident Type 2 Diabetes Mellitus

Diabetes Metab J. 2022;46(3):486-498.

내장지방면적(visceral fat area, VFA)과 내장지방 대 피하지방 비율(visceral-to-subcutaneous fat ratio, VSR)은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 T2DM)과 심혈관계 위험인자와 연관성이 있다고 연구되어 있으나, VFA와 VSR이 T2DM 발병의 독립적 위험인자인지 아직 명확하게 연구되어 있지 않고, T2DM의 예측을 위한 VFA 및 VSR의 성별에 따른 최적 cutoff 값도 정해지지 않았다.

논문소개


2012년에서 2013년 사이에 정기 건강 검진의 일환으로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 스캔을 받은 30세에서 79세 사이의 T2DM이 없는 총 10,882명(남성 6,835명, 여성 4,047명)의 baseline에서의 VFA, 피하지방 면적 및 L3 척추 수준의 VSR을 측정했고, 이들의 T2DM 발병을 추적 관찰하였다. 4.8년의 추적 기간 동안 730건(남성의 경우 8.1%, 여성의 경우 4.3%)의 T2DM 사례가 확인되었다. ROC curve 분석에서 T2DM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VFA 및 VSR의 최적 cutoff 값은 남성에서 각각 130.03 cm2 및 1.08, 여성에서 85.7 cm2 및 0.48 이었다. 성별에 관계없이 VFA와 VSR이 높을수록 T2DM 발생 위험이 더 높았다. VFA 및 VSR의 가장 낮은 사분위수와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사분위수는 남성의 경우 각각 2.62(95% 신뢰 구간[CI], 1.73~3.97) 및 1.55(95% CI, 1.14~2.11), 여성의 경우 32.49 (95% CI, 7.42~142.02) 및 11.07(95% CI, 3.89~31.50)의 조정 오즈비를 보였다. 따라서 높은 VFA 및 VSR은 T2DM 발병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 인자였다. 내장지방 비만(남성에서 VFA ≥130 cm2 또는 VSR ≥1.0, 여성에서 VFA ≥85 cm2 또는 VSR ≥0.5)에 대한 성별별 reference 값은 T2DM 발병 예측을 위해 제안되었다. T2DM 발생에 대한 VFA 및 VSR의 예측력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강했고, VFA는 VSR에 비해 T2DM 발생 위험과 더 강하게 연관되었다.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104호

Copyright © Korean Diabetes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