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당뇨병학회

Basic and translational research 1

Introduction to AI in basic and translational research

좌장: 김민선, 이재민
5월 9일 금요일 09:00-10:20 Room 2

최근 몇 년간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우리 생활뿐만 아니라 의학 연구 전반에도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당뇨병 연구 또한 예외가 아니며, AI를 활용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질병의 진단, 예측, 치료법 개발에 큰 가능성을 열고 있다. 본 세션에서는 AI가 무엇인지에 대한 기본 개념을 시작으로, AI가 의학 연구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에 대해 국내 대표 AI 기반 생명과학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 사례 및 인사이트를 소개하여 궁극적으로 학회 참가자들이 자신의 연구 분야에 AI를 접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고자 한다.
S02-L1
이헌상

고려대 생명과학과

Introduction to AI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diabetes
S02-L2
이현주

GIST AI융합학과

Robust self-supervised learning strategy in single-cell RNA-seq data
S02-L3
전민지

고려의대 의료정보학교실

Harnessing AI for transcriptome-based drug discovery
S02-L4
신웅희

고려의대 의료정보학교실

AI-empowered strategies for structure-based virtual screening drug discovery
Basic and translational research 2

Cellular senescence and aging in metabolic organs

좌장: 이명식 , 전재한
5월 9일 금요일 12:50-14:10 Room 2

세포 노화는 대사 기관의 기능 저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지방 조직, 신경계, 근골격계 등 다양한 조직에서 대사 균형과 건강 수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세션에서는 지방 조직에서의 BCAA 대사 장애가 노화 관련 대사 이상을 촉진하는 기전을 탐색하고, 세놀리틱 치료가 노화된 생쥐의 외상 후 골관절염에서 산화 단백질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를 조명한다. 또한, 천연물 유래 저분자 대사체가 기억 손상 모델에서 신경 활성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분석하여 중추신경계에서 세포 노화와 신경 기능 간의 연관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세포 내 올리고머 형성을 활용한 새로운 초분자 세놀리틱 전략의 가능성을 살펴보며, 노화된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혁신적인 치료 접근법을 논의할 예정이다. 본 세션을 통해 대사 기관과 신경계, 근골격계에서의 세포 노화 기전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노화 관련 질환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모색하는 심도 깊은 논의를 하고자 한다.
S06-L1
구승회

고려대 생명과학부

Role of CRTC2 in aging-mediated metabolic disorder
S06-L2
전옥희

고려의대 융합의학교실

Senolytic treatment reduces oxidative protein stress in an aging male murine model of post‐traumatic osteoarthritis
S06-L3
김민수

KIST

Hypothalamic neural stem cells in aging
S06-L4
유자형

UNIST

Supramolecular senolytics via intracellular oligomerization of peptides
Basic and translational research 3

Frontiers in cardiometabolic research–emerging therapeutic targets and strategies

좌장: 이인규, 송민호
5월 9일 금요일 16:40-18:00 Room 2

당뇨병은 대사이상지방간질환(MASLD) 및 다양한 심혈관질환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기초중개연구 세션에서는 새로운 대사 조절 hepatokine인 activin E의 MASLD 약물 표적으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당뇨병성 심근병증과 허혈성 심장질환의 새로운 치료 접근법을 조망하고자 한다.
S08-L1
류동렬

GIST

Local NAD⁺ supplementation protects against myocardial injury in a LAD ligation-induced mouse model
S08-L2
최철수

가천의대 내과

Activin E, a new hepatokine, protects against MASLD through adipose lipolysis regulation
S08-L3
오창명

GIST

Cardiometabolic benefits of fenofibrate in heart failure related to obesity and diabetes
Basic and translational research 4

Recent findings in basic science of kidney diseases

좌장: 박근규, 황성순
5월 10일 토요일 09:00-10:20 Room 2

신장은 heterogeneity가 있는 대표적인 대사 조직으로서, 다양한 세포들이 서로 다른 신호 체계를 전달하는 기관이다. 이번 세션에서는 신장이 손상되었을 때, 손상된 조직을 복구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분야에 중점을 두었으며, multi-omics를 활용하여 신장 조직의 생물학적 신호 체계를 탐구하고, in vivo 모델을 활용하여 신장 조직의 손상 부위를 복구하는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 내용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신장 질환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신약과 기술 개발에 대해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S11-L1
이은영

순천향의대 신장내과

RIPK3 causes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albuminuria in diabetic podocytopathy
S11-L2
박선지

대구경북첨단의료진흥재단

Intracellular organelle stress in kidney diseases: mechanisms and implications
S11-L3
남기택

연세대 의생명과학부

Regenerative role of quiescent stem cells in kidney repair

Go top

대한당뇨병학회
(04146)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104호
  • E. diabetes@kams.or.kr
  • T. 02-714-9064
  • 대표자 성명: 차봉수
  • 사업자등록번호: 106-82-31108
제38차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 준비사무국 (플랜베어)
(07806) 서울시 강서구 공항대로 220 우성에스비타워Ⅱ 1108호
dm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