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당뇨병학회

Special interest session 1

Diabetes and health inequality (당뇨병과 건강불평등)

좌장: 서영성, 김숙경
5월 8일 목요일 15:00-16:20 Room 5

당뇨병의 관리에는 건강한 생활습관과 약물복용에 대한 순응도 등 환자 스스로의 노력이 중요하다. 그러나 그 이면에 있는 사회 경제적요인들, 빈곤과 비혼, 독거 등이 실은 스스로의 관리를 어렵게 하는 핵심적인 요인인 경우가 적지 않다. 실제로 우리나라 청년당뇨인들 중 경제적으로 어려운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와 대비해서 사망률이 3배나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본 세션은 사회적 격차와 당뇨병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취약계층 당뇨인의 질병서사를 살펴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국가적, 사회적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는 장으로 마련되었다.
SIS1-L1
김신곤

고려의대 내과

Socioeconomic disparities and diabetes: is personal health enough?

(사회경제적 격차와 당뇨병: 개인의 건강만으로 충분한가?)

SIS1-L2
김향수

성공회대

Illness narratives of poor elderly people with diabetes : Focusing on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eating

(빈곤 비혼 50-60대 당뇨인의 질병 서사 : 서사 구조와 먹기의 의미를 중심으로)

SIS1-L3
남은지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Diabetes management in vulnerable populations: national challenge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취약 계층의 당뇨병 관리: 국가적 도전과 실행 전략)

Panel discussion
  • SIS1-P1
    곽순헌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

  • SIS1-P2
    박영수

    서울의대

  • SIS1-P3
    이선영

    한국소아당뇨인협회

Special interest session 2

AI research A to Z

좌장: 김성훈, 김철식
5월 8일 목요일 16:40-18:00 Room 5

AI 연구의 A to Z를 쉽고 체계적으로 다루는 본 세션에서는, 연구 아이디어의 발굴부터 혁신적 발전 전략, 연구비 확보 방안, ChatGPT를 활용한 논문 작성법까지 실용적인 가이드를 제공한다. 특히 AI 연구 입문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 단계에서의 AI 활용 방안, 연구 성과의 논문화 전략, 그리고 AI 기술의 실용화 및 사업화까지 전주기적 과정을 단계별로 소개할 예정이다. 본 세션은 연구자들이 AI 연구의 시작부터 완성까지 전 과정을 부담 없이 이해하고, 실제 연구에 적용하여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통합적 역량을 강화하는 의미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SIS2-L1
권준명

메디컬에이아이

From research to innovation: turning AI ideas into success
SIS2-L2
이상열

경희의대 내과

Securing AI research grants and government funding
SIS2-L3
안상진

인제의대 약리학교실

Knowledge management for paper writing in the ChatGPT era
The great talk: ask us anything

당뇨병과 인생을 함께한 대가에게 묻고 답하기

좌장: 김신곤, 노정현
5월 9일 금요일 12:50-14:10 Room 6

The Great Talk 특별 세션에서는 내분비 인생의 길을 30여년 이상 걸어오신 인생의 선배이자 이 분야를 선도해 오신 교수들을 모시고, 다양한 경험과 의사이자 학자, 그리고 교육자로서 소중한 지혜를 미래 세대에 전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함께 그분들의 여정에 빠져들어 그분들의 통찰력에서 배우며 인생의 구루(Guru)*들의 성공적인 삶을 엿보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구루(Guru): 산스크리트어로 "가치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상담자, 삶의 모범이 되는 사람, 영감을 주는 원천, 후학의 영적 진화에 도움을 주는 사람"을 말한다.
SIS3-L1
김동선

한양의대 내과

The lessons from the past
SIS3-L2
유재명

한림의대 내과

As a doctor, which areas should we focus on?
Hot publication debate

Pioneering clinical research from Korea: phase 3 trials that changed clinical practice

좌장: 유순집, 고관표
5월 9일 금요일 16:40-18:00 Room 1

대한민국의 당뇨병 임상연구가 세계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다. 본 세션에서는 최근 국제 저명 학술지에 게재된 우리나라의 대규모 3상 임상연구들을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 비만 동반 당뇨병에서의 열량 제한 효과, 관상동맥우회술 환자에서 실시간 연속혈당측정의 유용성, 초기 병합요법의 새로운 패러다임까지 한국의 연구진이 이끈 혁신적 연구 성과들을 공유할 예정이다. 저자와 연구책임자와 패널이 함께하는 심도 있는 토론을 통해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실제 진료 현장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하고자 한다.
SIS4-L1
김미경

가톨릭의대 내과

Impact of caloric restriction on diabetes remission in Korean adults with obesity (CREDO-K study)
SIS4-L2
권혁상

가톨릭의대 내과

Impact of caloric restriction on diabetes remission in Korean adults with obesity (CREDO-K study)
SIS4-L3
손희준

서울의대 내과

Real-time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improves post-operative glucose control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 randomized clinical trial
SIS4-L4
곽수헌

서울의대 내과

Real-time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improves post-operative glucose control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 randomized clinical trial
SIS4-L5
문준성

영남의대 내과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initial triple combination therapy with metformin, dapagliflozin and saxagliptin compared with stepwise add-on therapy in drug-naïv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RIPLE-AXEL study): a multicentre, randomized, 104-week, open-label, active-controlled trial
SIS4-L6
김신곤

고려의대 내과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initial triple combination therapy with metformin, dapagliflozin and saxagliptin compared with stepwise add-on therapy in drug-naïv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RIPLE-AXEL study): a multicentre, randomized, 104-week, open-label, active-controlled trial
Panel discussion
  • SIS4-P1
    정창희

    울산의대 내과

  • SIS4-P2
    김경수

    차의과학대 내과

  • SIS4-P3
    김민지

    경북의대 내과

  • SIS4-P4
    김휘승

    중앙의대 내과

i-Target elderly

Debate: Mandatory moderate-intensity statin therapy for primary prevention in elderly T2D patients

좌장: 차봉수, 김신곤
5월 10일 토요일 09:00-10:20 Room 5

스타틴은 당뇨병 환자의 이상지혈증 및 심혈관질환 위험 관리의 가장 중요한 치료제이다. 그러나 노인 인구에서 스타틴의 효용성 및 안전성에 대해서는 RCT 기반의 연구 증거가 충분치 않다. 이에 노인 당뇨병 환자에서 중강도 스타틴과 LDL-C 목표 기반 개별화된 치료 전략의 CV outcome trial (iTARGET trial)이 기획되고 있다. 이번 세션은 노인 당뇨병 환자에서 스타틴 사용의 효용성을 debate 를 통해 검토해보고, iTARGET trial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SIS5-L1
허지혜

한림의대 내과

Pros (Moderate intensity statin is the only evidence-based drug for CVD prevention)
SIS5-L2
이승환

가톨릭의대 내과

Cons (One size doesn't fit all. There should be more options other than moderate-intensity statins)
SIS5-L3
김남훈

고려의대 내과

Introduction to iTARGET trial - study design and protocol
Panel discussion
  • SIS5-P1
    전숙

    경희의대 내과

  • SIS5-P2
    이용호

    연세의대 내과

Scientific expertise series

Lessons from the trenches of research

좌장: 박경수, 장상아
5월 10일 토요일 13:00-14:20 Room 1

연구는 단지 성공의 연속이 아니라, 수많은 시행착오와 실패를 통해 완성된다. 이번 특별 세션에서는 기초, 중개, 임상 연구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지닌 석학들께서 연구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과 실패의 순간들을 진솔하게 공유하고, 이를 극복하며 얻은 통찰과 실질적인 노하우를 전할 예정이다. 실패를 딛고 새로운 길을 개척해온 연구자들의 생생한 경험을 통해, 참가자들 또한 자신의 연구 여정을 더욱 단단히 다져나갈 수 있는 뜻 깊은 시간이 될 것이다.
SIS6-L1
고은희

울산의대 내과

Through the labyrinth: challenges, resilience, and breakthroughs in basic and translational research
SIS6-L2
이병완

연세의대 내과

Biomarkers in diabetes: lessons learned from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SIS6-L3
김신곤

고려의대 내과

From protocol to practice: overcoming challenges in clinical trial design and implementation

Go top

대한당뇨병학회
(04146)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104호
  • E. diabetes@kams.or.kr
  • T. 02-714-9064
  • 대표자 성명: 차봉수
  • 사업자등록번호: 106-82-31108
제38차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 준비사무국 (플랜베어)
(07806) 서울시 강서구 공항대로 220 우성에스비타워Ⅱ 1108호
dm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