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당뇨병학회

환자관리위원회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abetes management from the people with diabetes' perspective (환자입장에서 바라보는 인공지능과 당뇨병 관리)

좌장: 박강서, 진흥용
5월 8일 목요일 15:00-16:20 Room 6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혈당 모니터링, 식단관리와 신체 활동에 이르기까지 AI를 기반으로 하는 당뇨병 관리가 주목 받고 있다. 본 세션에서는 의료진과 당뇨인이 함께 참여하여, 인공지능 기반 당뇨병 관리에 대한 최근의 동향을 살펴보고 더 나은 방안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CS1-L1
유혜민

을지의대 내과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diabetes care

인공지능과 당뇨병 관리

CS1-L2
박혜은

경희대학교병원 간호팀

Experiences in educating patients using continuous glucose monitors and comparison of the utility of patient-preferred apps

연속혈당측정 사용과 환자 교육의 경험 & 환자가 주로 사용하는 앱 유용성 비교

CS1-L3
이연희

아주대학교병원 영양팀

Know your diabetes meal plan and make healthy choices

당뇨병 식사, 방법은 달라도 선택은 건강하게

Panel discussion
  • CS1-P1
    김미영

    한국1형당뇨병환우회

  • CS1-P2
    채창훈

    한국1형당뇨병환우회

  • CS1-P3
    박경준

    한국1형당뇨병환우회

  • CS1-P4
    강시영

    경기도장애인협회 부천시지회

간행위원회

DMJ International publication award

좌장: 최경묵, 권혁상
5월 9일 금요일 09:00-10:20 Room 5

DMJ International Publication Award (IPA)는 젊은 대한당뇨병학회 회원들의 연구 열정을 고취하고, 대한당뇨병학회와 DMJ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제정된 상이다. 이 상은 지난 한 해 동안 당뇨병과 대사질환 분야에서 많은 연구 성과를 거둔 젊은 연구자들에게 수여된다. 본 세션에서는 올해 DMJ IPA 수상자들을 초청해 그들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CS2-L1
김명진

한림의대 내과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and myosteatosis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CS2-L2
김지윤

성균관의대 내과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with structured education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anaged by multiple daily insulin injections: a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CS2-L3
문준호

서울의대 내과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treatment satisfaction upon intermittently scanned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S2-L4
이준엽

가톨릭의대 내과

Efficacy and safety of alogliptin-pioglitazone combination for type 2 diabetes poorly controlled with metformin: a multicenter,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CS2-L5
한유진

계명의대 내과

Myosteatosis predicts bariatric surgery response: A longitudinal study in patients with morbid obesity
진료지침위원회

Release of the 2025 KDA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diabetes mellitus (9th edition)

좌장: 이병완, 허규연
5월 9일 금요일 12:50-14:10 Room 3

대한당뇨병학회는 1990년 당뇨병 진료지침 제1판을 발간한 이후 현재 2년마다 개정판을 발행하고 있다. KDA 진료지침위원회는 학회 주도의 근거중심 진료지침을 개발하기 위해 핵심 질문을 선정한 후 신규 개발, 수용 개발, 개작 개발을 진행하며 KDA만의 기술 방식을 확립했다. 본 세션에서는 2025 당뇨병 진료지침 제9판의 주요 개정 사항인 인슐린 치료, 2형 당뇨병 약물 치료, 고혈압, 대사성지방간질환 등에 대해 집필진이 그 근거와 의미를 소개할 예정이다.
CS3-L1
이병완

연세의대 내과

2025 당뇨병 진료지침 개정 보고
CS3-L2
강신애

연세의대 내과

변화된 권고안 소개
CS3-L3
최종한

건국의대 내과

Reevaluating the role of metformin in initial therapy: insights from the 2025 KDA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S3-L4
김지민

충남의대 내과

이화작용 증상에 따른 인슐린 사용 권고
CS3-L5
김혜진

아주의대 내과

Optimal blood pressure target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CS3-L6
배재현

한림의대 내과

Management of obesity and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MASLD)
Diabetic policy forum

의료전달체계에서의 당뇨병

좌장: 박석오, 김종화
5월 9일 금요일 16:40-18:00 Room 4

가용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필요할 때에 적시에, 적절한 의료기관과 의료전문가로부터, 적정한 서비스를 받도록 제도화 하는 의료전달체계는 국가보건의료체계의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세션은 당뇨병 환자들의 국내 1/2/3차 기관에서의 치료 현황과 사망 및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높아서 체계적 관리가 필요한, 중증 환자부터 경증 환자까지 다양한 질병의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는 당뇨병의 분류 및 당뇨병 관리의 질을 높이기 위한 의료전달체계에 대한 발표가 준비되어 있다. 이를 통해 당뇨병 환자에 대한 전문적인 당뇨병 치료 개입과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당뇨병 관리 시스템의 구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CS4-L1
김원준

울산의대 내과

Current status of diabetes treatment in Korea (primary care, secondary and tertiary hospitals)(우리나라 당뇨병 치료 현황(1/2/3차 기관에서 현실))
CS4-L2
류옥현

한림의대 내과

Diabetic patients: are they all the same? How should they be classified? (당뇨병환자, 모두 같은가? 어떻게 분류할까?)
CS4-L3
정재훈

고려의대 예방의학과

Healthcare delivery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diabetes care (당뇨병 관리의 질을 높이기 위한 의료전달체계)
Panel discussion
  • CS4-P1
    한정훈

    프렌닥터한내과

  • CS4-P2
    조영민

    서울의대 내과

  • CS4-P3
    박동희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 CS4-P4
    홍아람

    전남의대 내과

  • CS4-P5
    서정윤

    매경헬스

비만당뇨병TFT

Debate session: is weight reduction after the diagnosis of diabetes beneficial?

좌장: 박철영, 이승환
5월 10일 토요일 13:00-14:20 Room 2

최근 비만당뇨병 환자의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비만은 당뇨병 발생의 가장 중요한 병태생리 중 하나이다. 따라서 당뇨병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체중감량은 치료의 중요한 목표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당뇨병 진단 후 체중감소가 안 좋은 예후와 관련있다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본 세션에서는 당뇨병 진단 후 체중감량이 다양한 예후에 미치는 영향과 이상적인 체중감량의 정도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CS5-L1
서지아

고려의대 내과

Yes: post-diagnosis weight loss in diabetes: a key to improved outcomes?
CS5-L2
김미경

가톨릭의대 내과

No: challenging the benefits of weight loss after diabetes diagnosis: are there risks?
Panel discussion
  • CS5-P1
    김진화

    조선의대 내과

  • CS5-P2
    박정환

    한양의대 내과

  • CS5-P3
    양여리

    가톨릭의대 내과

Go top

대한당뇨병학회
(04146)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104호
  • E. diabetes@kams.or.kr
  • T. 02-714-9064
  • 대표자 성명: 차봉수
  • 사업자등록번호: 106-82-31108
제38차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 준비사무국 (플랜베어)
(07806) 서울시 강서구 공항대로 220 우성에스비타워Ⅱ 1108호
dm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