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당뇨병학회

혈관연구회/당뇨병신증 연구회 Joint session

GLP-1 based therapies in the cardiovascular and renal disea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좌장: 김난희, 정인경
5월 8일 목요일 15:00-16:20 Room 1

최근, GLP-1 기반 치료제가 당뇨병과 비만 치료를 넘어서, 여러 대사적 연관 질환에 대한 치료 가능성을 시사하는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특히, 심혈관 질환, 당뇨병신장질환을 포함한 대규모 임상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이와 관련된 기전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세션에서는 GLP-1 기반 치료제의 심혈관 질환 및 신장질환 개선에 관한 최신 임상 연구 결과들을 심도 깊게 살펴보고, 이러한 치료적 개선의 기전에 대해 논의하고자한다.
RG1-L1
정창희

울산의대 내과

Recent cardiovascular and renal outcomes with GLP-1 based therapy
RG1-L2
정승민

영남의대 내과

Mechanisms of renal protection with GLP-1 based therapy
RG1-L3
김규리

성균관의대 내과

Mechanisms of cardiovascular protection with GLP-1 based therapy
Panel discussion
  • RG1-P1
    양예슬

    서울의대 내과

  • RG1-P2
    정인하

    고려의대 내과

베타세포 및 췌도이식 연구회

Recent advances in beta cell death mechanisms: from genetic variants to cell death

좌장: 원규장, 조영민
5월 8일 목요일 15:00-16:20 Room 2

본 세션에서는 당뇨병의 발병과 진행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췌장 베타세포의 기능 이상과 사멸 기전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제2형 당뇨병 관련 유전자 변이가 베타세포 기능에 미치는 영향, 새로운 세포사멸 경로인 ferroptosis의 역할, 그리고 베타세포 보호 단백질의 작용 기전에 이르기까지의 과정 등 기초 연구에서 임상적 적용 가능성까지 폭넓게 다루어질 예정이다. 이를 통해 당뇨병 치료의 새로운 타겟 발굴과 치료 전략 개발에 대한 통찰을 얻고자 한다.
RG2-L1
박정선

KAIST

Impact of type 2 diabetes-associated PAX4 variant on pancreatic β-cell function
RG2-L2
고관표

제주의대 내과

Ferroptosis of pancreatic β-cell in diabetes
RG2-L3
우창훈

영남의대 약리학교실

Pentraxin 3 deficiency ameliorates streptozotocin-induced pancreatic toxicity via regulating ER stress and β-cell apoptosis
노인당뇨병 연구회

New technolog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for elderly diabetic patients

좌장: 조동혁, 조영중
5월 8일 목요일 15:00-16:20 Room 3

급속한 고령화로 노인당뇨병 환자의 관리가 시급한 시국이다. 노인의 건강여건은 일정치 않아 주치의는 환자마다 개별 판정하고 치료법을 설계해야 한다. 이러한 소모적인 환경에서 미국에서 제안하고 전세계에서 받아들여진 노인당뇨병의 세단계 구분법은 아직 정교함의 문제가 있으나 실무적으로 요긴하다. 이번 세션에서는 노쇠의 단계 별 임상 관리 요점을 정리하고 근래 들어 발전한 최신 기술과 보건의료 환경을 접목하여 노인당뇨병의 치료 수준을 전체적으로 제고하고자 했다.
RG3-L1
유성훈

한양의대 내과

Low frailty: introducing self-care with CGM and insulin pump
RG3-L2
정혜승

서울의대 내과

Telemedicine for the elderly in South Korea: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areas for improvement
RG3-L3
김진화

조선의대 내과

High frailty: special care at long term care center and hospital
Panel discussion
  • RG3-P1
    이지현

    대구가톨릭의대 내과

  • RG3-P2
    노정현

    인제의대 내과

  • RG3-P3
    문성수

    안동병원 내과

  • RG3-P4
    윤재승

    가톨릭의대 내과

에너지대사 연구회

Metabolic insights into obesity and gestational diabetes

좌장: 최성희, 이용호
5월 8일 목요일 15:00-16:20 Room 4

비만과 임신성 당뇨병(GDM)은 에너지 대사의 변화와 인슐린 저항성 증가를 유발하며, 장내 포도당 흡수, 내장지방의 대사 조절, 신경계의 작용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본 세션에서는 임신성 당뇨병에서의 내장지방 조직의 대사 복잡성, 비만에서의 장내 포도당 흡수와 인슐린 저항성 조절 기전, 시상하부 교감신경 활성화를 통한 대사 조절 기전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또한 최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만과 임신성 당뇨병의 병태생리 이해를 확장하고, 새로운 치료 전략과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RG4-L1
강예은

충남의대 내과

Deciphering visceral adipose tissue complexity in GDM: a multiomics perspective
RG4-L2
민세희

울산의대 내과

Hypothalamic POMC neuron PKA signaling modulates gut glucose absorption and insulin resistance
RG4-L3
이찬희

한림대

Hypothalamic sympathetic activation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Panel discussion
  • RG4-P1
    최동욱

    고려대

  • RG4-P2
    서지아

    고려의대 내과

연속혈당측정 및 자동인슐린주입 연구회

Expanding horizons in CGM

좌장: 송기호, 김재현
5월 8일 목요일 16:40-18:00 Room 1

CGM(연속혈당측정) 기술의 확장된 활용 가능성을 다각도로 살펴보는 본 세션에서는, 기저인슐린을 사용하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비용-효과 분석, 수술 전후 관리에서의 CGM 활용, 그리고 국내 CGM 사용 현황에 이르기까지 실제적인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 본 세션을 통해 CGM 활용의 임상적 그리고 정책적인 새로운 지평을 열고, 실용적 지식을 공유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고자 한다.
RG5-L1
김지윤

성균관의대 내과

Continued use of personal CGM in T2D on basal insulin: cost-effectiveness analysis
RG5-L2
문선준

성균관의대 내과

Perioperative use of CGM
RG5-L3
홍준화

을지의대 내과

CGM fact sheet in Korea
Panel discussion
  • RG5-P1
    양여리

    가톨릭의대 내과

  • RG5-P2
    최덕현

    순천향의대 내과

  • RG5-P3
    유승현

    한국릴리

지방간/대사질환 신약 및 기술개발 연구회 Joint session

Novel pathways, models, and therapeutics in MASLD or other metabolic diseases

좌장: 정춘희, 이병완
5월 8일 목요일 16:40-18:00 Room 2

비알코올성 지방간 (MASLD)은 알코올 섭취와 관계없이 간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되는 질환으로, 대사증후군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심하면 간염 (MASH) 및 간섬유화(Liver fibrosis)로 진행될 수 있다. 이번 세션에서는 혈관내피의 RUNX3의 간섬유화 예방 기전, 비만 관련 질환에서 지방보직 ECM의 치료 표적 가능성, MASLD 동물 모델 개발, MASH 치료를 위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유사체를 다룰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사질환의 병태생리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치료법 개발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RG6-L1
이유미

경북대 약학대학

Endothelial RUNX3 controls LSEC dysfunction and angiocrine LRG1 signaling to prevent liver fibrosis
RG6-L2
박지영

UNIST 생명과학과

Adipose tissue ECM as a therapeutic target for obesity-related metabolic diseases
RG6-L3
김하일

KAIST

A mouse model for MASLD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RG6-L4
한유진

계명의대 내과

Thyroid hormone receptor-β analogs for the treatment of MASH
Panel discussion
  • RG6-P1
    임승순

    계명의대 생리학교실

  • RG6-P2
    하은영

    계명의대 내과

  • RG6-P3
    이민영

    연세의대 내과

  • RG6-P4
    배재현

    한림의대 내과

당뇨병신경병증 연구회

Innovations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diabetic neuropathy

좌장: 박이병, 이재혁
5월 8일 목요일 16:40-18:00 Room 3

당뇨병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은 중추 및 말초신경계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포함하며, 특히 당뇨병말초신경병증(DPN)과 심혈관자율신경병증(CAN)은 신경계의 기능적 이상을 초래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본 세션에서는 신경계 간의 교차작용(cross-talk)과 신경병증의 병태생리적 기전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CAN의 조기 진단 및 최신 진단기법 등의 혁신적 접근법을 논의하면서 통증성당뇨병말초신경병증(PDPN)의 치료에 있어 약물요법 및 비약물치료 등 혁신적인 치료법의 현재와 미래 전망을 제시하는 동시에 다학제적 협력을 통한 최적의 치료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당뇨병신경병증의 병태생리 이해를 확장하고, 진단 기술 및 치료 혁신을 통해 맞춤형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며, 다학제적 협력을 통한 효과적 관리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RG7-L1
이경애

전북의대 내과

Cross-talk between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s in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RG7-L2
강선미

순천향의대 내과

Emerging trends and challenges in diagnosing diabetic cardiovascular autonomic neuropathy
RG7-L3
정정화

경상의대 내과

Innovative therapies for painful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current and future perspectives
Panel discussion
  • RG7-P1
    문성수

    안동병원 내과

  • RG7-P2
    이창원

    부산성모병원 내과

  • RG7-P3
    김지민

    충남의대 내과

임신당뇨병 연구회

Practical management of diabetes in pregnancy

좌장: 성연아, 조금준
5월 8일 목요일 16:40-18:00 Room 4

임신 중 산모의 혈당이 잘 조절되지 않을 경우 출산합병증(거대아, 임신중독증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최신 연속혈당측정기(CGM)의 발달과 인슐린을 사용하는 임신중당뇨병산모에서 CGM이 급여화됨에 따라 그에 따른 임상근거와 진료지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세션에서는 각국의 임신중 CGM에 대한 가이드라인, 1형, 2형, 임신당뇨병에서의 CGM 사용근거와 더불어 실제 당뇨병 산모관리에 있어 교육 및 관리, 그리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건, 복지 서비스를 아우르는 당뇨병 산모 관리의 실제적인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RG8-L1
서미혜

순천향의대 내과

Evidence for CGM Use in gestational diabetes: guidelines, time in range, clinical implications
RG8-L2
김원진

차의과학대 내과

Evidence for the use of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in pre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RG8-L3
김선영

삼성서울병원 간호과

Education and management of diabetes in pregnancy
RG8-L4
박유정

안산대

Health and human services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운동 연구회

Role of exercise in diabetes

좌장: 김미경, 홍상모
5월 8일 목요일 16:40-18:00 Room 6

운동요법은 식사요법과 더불어 당뇨병 예방에 도움이 되며,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에 장단기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금번 세션에서는 여러 상황에서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며, 생체리듬에 따른 운동 효과, 노인당뇨병에서 식사조절과 신체활동이 근감소증과 비만에 미치는 효과, 연령에 따른 고강도 인터벌 훈련 영향 등에 대한 최신 지견을 다루고자 한다.
RG9-L1
김소헌

인하의대 내과

The interplay of circadian rhythms and exercise: enhancing health and performance through timing
RG9-L2
홍경희

동서대 식품영양학과

Association of combining diet and physical activity on sarcopenia and obesity in elderly Koreans with diabetes
RG9-L3
안근희

대진대 스포츠건강과학과

Adapting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HIIT) for different age groups: practical and health benefits
Panel discussion
  • RG9-P1
    김동철

    인하대병원 운동처방사

  • RG9-P2
    김진영

    가톨릭의대 내과

  • RG9-P3
    김은숙

    가톨릭의대 내과

Go top

대한당뇨병학회
(04146)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104호
  • E. diabetes@kams.or.kr
  • T. 02-714-9064
  • 대표자 성명: 차봉수
  • 사업자등록번호: 106-82-31108
제38차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 준비사무국 (플랜베어)
(07806) 서울시 강서구 공항대로 220 우성에스비타워Ⅱ 1108호
dmj